-
반응형
퇴사하기 좋은 BEST타이밍 퇴직금을 더 받을 수 있는 시기는 따로 있습니다.
사회초년생이 미리 알아두면 좋은 퇴사하기 좋은 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
1. 1년 딱 채워 퇴사하기
입사 후 1년 미만은 퇴직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재직 1년이 지나면 퇴직금이 발생하는데요.
회사가 입사기준이 아닌 1월 1일 기준으로 회계연도를 관리한다면 1월 1일이 지나야 퇴직금이 누적됩니다.
미리 회사에 확인하셔야 합니다.
2. 금요일보다 월요일 퇴사가 유리한 이유
대부분 직장인분들중에 금요일 퇴사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월요일 퇴사하면 주말도 근일수에 포함되어 퇴직금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월요일 퇴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4월, 그리고 2월 포함 3개월
4월에 퇴사를 추천하는 이유는 퇴직 직전 3개월에 가장 짧은 달인 2월이 들어가면 근로일수가 줄어 1일 평균임금이 높게 측정됩니다.
즉 퇴직금도 늘어납니다.
4. 상여금 받은 직후에 퇴사
성과급, 연장근로수당 등 받았다면 3개월 평균임금이 상승하여 퇴직금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단, 포괄임금제인 회사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야근수당지급이 되지 않아 미리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5. 연봉협상 후 3~4개월 버티기
1년마다 연봉협상을 하게되는데 연봉협상 후 3~4개월 뒤에 퇴사하게 되면
연봉 오른 3달이 포함된 급여를 받게 되어 퇴직금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6. 연차 소진하거나 수당으로 받기
연차수당 지급하지 않을려고 다 사용하고 나가라는 회사도 있습니다.
연차촉진제도를 실행하는 회사라면 남은 연차사용계획을 다 사용하고 난 후 퇴사하는 게 이득입니다.
예를 들어 남은 연차가 10개라면 10일 동안 이어서 사용하면 10일 동안의 일급이 포함되어 퇴직금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연차촉진제도를 실행하지 않는 회사라면 연차수당을 받는것이 더 이득입니다.
7. 마무리 팁
충동회사보다는 퇴직금과 연차수당을 한번 더 챙길 수 있는 타이밍을 노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등 퇴사 준비 체크리스트는 다음 글을 통해 확인하시길 바랍니다.반응형'직장인 & 청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루누리지원금 대상확인 비과세 최신 완벽정리 (3) 2025.08.07 퇴사할때 꼭 챙겨야 할 필수서류 리스트 (8) 2025.08.05 인기도서 모바일에서 전자도서관 무료 이용방법 (4) 2025.07.28 캐이뱅크 민생지원금 혜택과 카드 발급방법 (4) 2025.07.23 청년자립지원금 신청 놓치면 아까운 혜택 (3) 2025.07.20